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필드주입
- velog
- 원티드 챌린지
- 스프링
- 커밋메세지
- springboot
- 파이썬
- 원티드 백엔드 챌린지
- 자바
- 원티트 프리온보딩
- 스파르타 코딩클럽
- 의존성주입
- 수정자주입
- commit message
- 생성자주입
- 자료구조
- 개발자 커리어콘
- 인텔리제이
- docker
- 알고리즘
- Java
- 도커
- 스파프타 코딩클럽
- 의존성자동주입
- 원티드프리온보딩백엔드챌린지
- Spring
- 웹크롤링
- 캐치
- 프리온보딩 4월 백엔드 챌린지
- 벨로그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5)
기록하는 블로그

처음 자바 강의를 수강했을 때 초반 ~ 중반은 열심히 들었는데 후반에 들어와서는 졸면서 들어서 그런지 후반부의 내용은 기억에 남는 게 별로 없다. 강의 후반부에 들었던 과목 중에 Collection framework도 포함되어있었는데, 자바 강의가 끝나고 Collection framework에 대해서 들었을때 '왜 내가 들은 과정에서는 이걸 안 배웠지?'라고 생각했는데 그건 Collection framework을 놓쳐서 그런 거였다. 아무튼 그래서 오늘은 Queue 와 스택에 대해서 공부하기로 했다. Queue First in First Out - FIFO 먼저 들어간 요소가 먼저 나온다. Collection framework의 인터페이스 중 하나이다. 가장 첫 요소를 front, 가정 끝 요소를 rea..

이 카테고리에는 짧게 배우거나 느낀 개발에 도움이 될만한 지식들을 기록하기로 했다. 약간 네이버 카페 같은 곳 보면 출석 체크 같이 짧은 글 올리는 그런 곳의 느낌을 담아서? public class MemberDto { private final String name; private final int amount; //...... } 자바에서 final 이란 키워드를 종종 본적이 있다. 당시 그 코드의 동작에는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아니었기에 그냥 넘어갔는데 최근 개발 서적을 보면서 다시 찾아보게 되었다. 자바에서 final 을 사용하면 세 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Immutable 하게 함으로써 데이터의 값을 보호해준다. 2. final 을 인식하는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수 있다. 3. 코드의..

제목과는 약간 관련 없는 내용이지만, 오늘은 두 번의 코딩 테스트를 쳤다. 배달 잘하는 친구들과 메시지 잘 보내는 친구들에서 보는 코테였는데 앞선 테스트는 자바스크립트, 다음 테스트는 자바로 쳤다. 코테 일정을 받고 익숙하지 않은 JS로 시험을 준비하면서 내가 상상했던 것 : "뭐? 신입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백엔드와 DB 지식도 갖고 있는 자기 주도형 풀 스택 개발자라고?" "뭐? 토이 프로젝트를 만들었는데 react와 스프링 부트 부분을 전부 담당했다고?" 아침에 털리고 오후에 털린 다음의 나 : 알고리즘 공부를 독학으로 하는 것은 쉽지 않다. 프로그래머스 lv2 정도 문제만 되어도 풀기 위해 많은 시간을 투자하면서 공부해야 하는데 문제는 코테 공부에만 올인하면 어쩌다 한 번씩 마주치는 미니 프로젝트 ..

최근에 알고리즘 공부를 책으로 독학하고 있다. 오로지 책과 인터넷 검색에 의존해야하기 때문에 완벽히 알고리즘을 이해하려면 누군가가 가르쳐주거나 정해진 커리큘럼대로 따라하는 거보다 더 많은 노력을 해야한다. 지금 정렬파트를 보고있는데 코드보고 이해하고 돌아서서 구현하려면 까먹기를 반복해서 머리를 식히고자 쉬는시간에 스프링부트를 공부하고있다. 프로젝트를 이미 두번정도 만들었지만, 둘다 Spring Legacy Project 로 만들었기에 지금 보는 스프링부트는 익숙한듯 새로운것 같다. 이전에 해보지 않은 TDD 도 간접적으로 경험하고 있는데 대량의 트래픽이 발생하는 프로젝트나 규모가 큰 프로젝트의 경험이 없어서 그런지 아직까지 테스트코드의 필요성이 와닿지는 않고있다. 하지만 공고에 심심찮게 발견하는 테스트코..

자바의 개념을 전체적으로 한번 훑는다면 메소드와 클래스에 대해서 배울 것이다. 처음 메소드와 클래스에 대해서 접했을 때는 뭔가... 뭔가.... 뜬구름 잡는 느낌이었다. 무슨 말인지는 알겠고 이렇게 쓰는구나~ 하고 알았는데 자세히 안다고 자신할 수는 없었다. 그러다가 본격적으로 클래스와 메소드에 대해서 부딪히게 되었는데, 그것은 MVC 패턴에 따라서 웹 개발을 할 때 필요한 DTO (Data Tranfer Object) 클래스를 만들 때이다. package com.mvc.model.dto; import java.util.Date; public class MVCDto { private int seq; private String writer; private String title; private String..

처음 자바를 배웠을 때부터 항상 헷갈리는 부분인데 매번 대충 찾아보고 정리를 안 하고 넘어갔다니 자꾸 발목을 잡는다. 이번 기회에 확실하게 정리하고자 마음먹고 기록해보기로 했다. 오늘이 진짜 마지막이다...... 1. System.Out.Println ( ); 가장 기본적인 출력 방법이다. 자바를 잘 몰랐을때는 " System.out.println(); " 이걸 하나의 고유 명사? 처럼 사용했었는데, 다른 일반적인 클래스를 사용하는 것과 동일하다. 먼저 System 이라는 클래스는 Java Doc에서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 (Java 11 기준) (docs.oracle.com/en/java/javase/11/docs/api/java.base/java/lang/System.html) 위의 링크로 들어가서 ..

처음 Java를 통한 웹 개발을 배웠을 때 흔히 사용하는 Eclipse를 사용했는데 선생님이 IntelliJ를 극찬하셔서 접하게 되었다. IntelliJ의 사용경험이 적어서 장단점을 잘 모르지만 혼자 개발 공부를 할 때는 IntelliJ를 사용하려고 했는데 이거 사용법이 만만치 않았다. 흔히 사용하는 스프링은 설정이 반이다 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초기 설정이 까다로운데 새로운 IDE로 하려니 쉽지 않았다. 오랜 시간 들여서 마침내 성공한 거라 기록하기로 했다. 목표 : IntelliJ 로 Spring MVC 프로젝트를 만들고 Tomcat 서버와 연결해서 Hello World 출력하기 개발환경 : macOS Big Sur 11.1 사용 툴 : IntelliJ IDEA 2020.3.1 사용언어 : Java ..